온라인 광고/유튜브 광고

유튜브 광고 : 유튜브 ppl 종류 / 브랜디드 콘텐츠 / 진행방법 및 비용 안내

AD스푼 2025. 1. 31. 11:00

 

 

 

 

 

안녕하세요. AD 스푼입니다.

 

·

·

·

 

여러분은 하루에 얼마만큼 유튜브를 시청하고 계신가요?

저는 적게는 30분, 많게는 1시간 30분 정도 시청하는 것 같아요.

 

 

유튜브는 어느순간 전 세계적으로

가장 인기 있는 동영상 플랫폼으로 자리를 잡았고,

그 영향으로 유튜브를 통해

브랜드 마케팅을 하는 사람들이 생겨났어요.

 

 

특히 유튜브는 라이브 방송이 가능하고,

라이브 방송간 실시간 댓글과

업로드된 영상에서의 댓글 및 커뮤니티를 통해

소통이 쌍방향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청자(소비자)와 직접적이고, 빠른 소통이 가능합니다.

 

 

이번 글은 유튜브 광고인 ppl과 브랜디드 콘텐츠의 진행 방법과

비용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유튜브 광고는 동영상 콘텐츠와 결합하여

브랜드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광고입니다.

 

 

시청자가 구독하거나 즐겨보는 유튜버의 콘텐츠를

소비하면서 자연스럽게 광고를 접하게 되므로,

거부감이 적고 효과적인 메세지 전달이 가능합니다.

 

 

오늘 소개할 유튜브 광고는 PPL과 브랜디드 콘텐츠인데요.

PPL은  Product Placement의 약자로

콘텐츠 안에 자연스럽게 제품이나 서비스를 배치하는 것이고,

 

브랜디드 콘텐츠(BDC)는 브랜드의 메세지를 중심으로

제작된 동영상 콘텐츠입니다.

 

 

ppl 광고는 유튜브 콘텐츠 안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삽입하는 방식인데요.

시청자가 광고를 의식하지 않고 브랜드의 메세지를 접하게 합니다.

 

 

 

 

 

ppl 광고는 보통 2가지 종류로 구분합니다.

 

① 단순 ppl

: 콘텐츠의 배경이나 소품으로 제품을 등장시키는 방법

 

예) 유튜버가 특정 브랜드의 음료를 마시거나, 책상 위에 노트북을 배치하는 형태

 

단순 ppl의 장점은 시청자들의 하여금 광고에 대한

거부감이 적고, 자연스럽게 브랜드를 노출할 수 있다는 점이며,

제품 언급 및 기능을 설명하는 콘텐츠가 아니기 때문에

광고라고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② 기획 ppl

: 유튜버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직접 언급하거나 기능적 설명을 하는 방식

 

예) 뷰티 유튜버가 화장품을 사용하면서 장점을 설명하거나,

게이밍 유튜버가 특정 게임을 하면서 게임의 특징을 리뷰하는 경우

 

기획 ppl의 장점은 제품의 특징을 상세히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브랜드에서 노출 희망하는 기능을 강조하고, 언급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 브랜디드 콘텐츠(BDC)_현주투성이

 

 

 

다음은 브랜디드 콘텐츠입니다.

 

브랜디드 콘텐츠는 브랜드의 메세지를 중심으로 한 동영상을 제작하고,

직접적인 홍보 효과를 노리는 광고 형태입니다.

유튜버가 직접 브랜드와 소통을 통해 영상이 제작되며,

브랜드의 철학과 가치를 자연스럽게 녹여내는 방법입니다.

 

 

기획 ppl과 비슷하지만 브랜드 제품이 노출되는 영상 길이도 길고,

무엇보다도 브랜드와 유튜버가 함께 기획하고, 참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브랜디드 콘텐츠의 경우

유튜버와 브랜드의 이미지가 잘 맞아야 하고,

단순 광고나 홍보가 아닌

브랜드의 캠페인 메세지를 잘 녹여내면서

영상이 진행되야 하는 것이 핵심포인트입니다.

 

 

유튜브 광고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 목표설정          

ⓑ 유튜버 선정     

ⓒ 광고 형식 결정

ⓓ 콘텐츠 기획     

ⓔ 성과 분석        

 

5단계 구성으로 진행된다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 목표설정 : 광고 캠페인의 목적(브랜드 인지도/제품판매/서비스 홍보 등)을 명확히 설정

노출이 주목적이라면 단순 ppl로도 충분하지만

제품의 기능이라던가 브랜드 이미지 및 캠페인 메세지 등을 위해서는

기획 ppl 또는 브랜디드 콘텐츠 쪽으로 진행되야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광고 캠페인의 목적성을 분명히 해야

차후 광고 형식 및 콘텐츠 기획을

어떻게 해야할지 방향성을 헤매지 않습니다.

 

 

ⓑ 유튜버 선정 : 광고 메세지와 맞는 유튜버 선정 (콘텐츠 스타일/구독자 특성/조회수 등)

브랜드와 유튜버의 이미지의 합이 잘 맞아야

더 많은 시너지 효과가 나기도 하며,

브랜드의 이미지 구축에 더욱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평소 식욕이 없고, 소식좌로 유명한 유튜버에게

푸드 브랜드가 협업을 제안해 광고를 진행했다면

먹방 유튜버에게 보여질 시너지가 나지 않겠죠?

 

그렇기 때문에 유튜버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광고 형식 결정ppl과 브랜디드 콘텐츠 중 진행할 형식 결정

ⓐ와 ⓑ 단계에서 이미 광고 형식이 결정되었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확고한 영상 노출 포인트를 캐치해야 합니다.

 

 

ⓓ 콘텐츠 기획 : 유튜버와 협력하여 광고 메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콘텐츠 기획

어떤 종류로 광고를 진행하지에 따라서 콘텐츠 기획 가능여부가 달라집니다.

 

단순 ppl과 기획 ppl의 경우

단순 ppl은 콘텐츠 기획에 전혀 참여할 수 없으며,

기획 ppl의 경우 협의는 진행할 수는 있으나,

원하는 방향대로 100%로 진행은 어렵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콘텐츠 기획이 명확하다면 브랜디는 콘텐츠 진행을 추천드립니다.

 

 

ⓔ 성과 분석 : 광고 캠페인 후 조회수, 클릭률, 참여율 등을 분석 및 성과 평가

판매 증가가 목표일 경우에는 더보기나 유튜버의 고정댓글을 통해

협업하는 유튜버의 영상에서만 진입이 가능한 시크릿 링크(URL)를 통해

판매량 및 매출을 확인할 수 있으며, 조회수는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다만, 조회수는 약 일주일정도만 조회수 증가의 폭이 넓으며,

그 이상의 기간이 지나면 새로 올라오는 영상에 의해 조회수 증가의 폭이 좁아지게 됩니다.

 

 

다음은 유튜브 광고의 비용인데요.

저희가 대다수 알고 있는 연예인 몸값처럼

인기가 많은 스타일수록 몸값이 높아지는 건 당연한 이치일 텐데요.

 

 

유튜버도 마찬가지로 인기가 많은 유튜버일수록,

구독자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비용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콘텐츠 자체의 비용으로는

단순 ppl < 기획 ppl < 브랜디드 콘텐츠 순으로

비용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예인들도 개인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있는데요.

인기가 많고, 구독자 수가 많은 연예인 유튜버와 메가 유튜버들은

6,000~8,000만 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고,

 

 

그 이하의 유튜버들은 5,000만 원 이하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그 외에도 브랜드의 홈페이지 또는 SNS 계정에 이미지나 영상 업로드 시

기본 라이선스, 광고 라이선스, 편집 라이선스 등의

2차 활용에 대한 라이선스 구매가 필요하며

'~의 PICK / ~가 1위로 뽑은' 등의 이름과 얼굴 이미지를 사용할 경우,

성명권과 초상권에 대한 금액 지불이 필수적으로 들어갑니다.

 

 

유튜브 광고를 생각하고 계시는 브랜드에서는

대략적인 예산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정한 예산에 따라 유튜버 List Up(리스트업) 진행되기 때문에

대략적인 예산이나 희망하는 유튜버가 없으면

리스트업에 할애되는 시간이 점차 늘어나고,

방대한 유튜버 리스트를 전달드릴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화장품 및 건강기능식품, 다이어트식품 등은

유튜버들이 일정기간 동안 제품을 사용해 보고, 체험해봐야 하기 때문에

진행 가능 여부는 약 2주에서 4주 정도로 생각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업로드 일정은 촬영 이후 2~3주 내로 보통 업로드가 되며,

이 부분은 해당 유튜버의 상황을 고려하여, 협의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추가로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시면

언제든 문의주세요:-)

 

 

010-2751-7996

 

※ 번호를 누르시면, 자동으로 전화 연결이 됩니다. (모바일 환경)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준콤 카카오 채널로 이동합니다.